단어 | 한줄 정리 |
Js 엔진 | JS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|
Excution Context | 함수를 실행할 때의 배경 정보 |
this | 전역의 함수 및 변수를 가르키는 키워드 |
스코프 | 변수의 유효 범위 |
클래스 | 속성과 기능으로 정의된 설계도 |
호이스팅 | var로 변수를 선언할 때 코드의 말단에 초기화하게 되면 이를 선언 부분만 상단에 하는 것 즉 끌어올린다는 의미이다. let과 const에 있어서는 말단에 초기화된 부분을 상단에서 인지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. 이때 상단과 말단의 공간을 TDZ라고 한다. |
단어 | 한줄 정리 |
HTTP | 글 이상의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규약 |
클라이언트 |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|
서버 |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에 응답 |
status code |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 통신할 때 응답하는 상태 코드 |
requsets method | get, post, put, patch, delete외에 9개가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하는 기능 |
url | 스키마, 도메인, 포트, 리소스, 파라미터로 구성된 주소 |
rest | 클라이언트와 서버 통신간에 지키면 좋을 규칙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