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념 | 한줄 정리 |
함수 | 코드를 재활용하기 위해 쓰는 것 |
순수 함수 | 주어진 값이 동일하면 같은 값을 리턴하는 함수 |
일급 함수 | 함수를 일급 시민으로 취급해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는 함수 |
익명 함수 | 함수에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함수 |
즉시 실행 함수 | 함수에 소괄호를 감싸서 즉시 실행하는 함수 |
프로세스 | 컴퓨터 안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|
스레드 |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 |
블로킹 | 특정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실행을 차단함 |
논블로킹 | 특정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실행함 |
동기 |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그 작업이 끝나는 걸 기다림 |
비동기 |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그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실행함 |
콜백 함수 | 다른 함수에 전달되는 함수 |
프로미스 | 비동기 연산을 도와줌 |
async | 함수 앞에 붙여서 해당 함수가 비동기 함수임을 나타내는 것 |
await | 비동기 함수의 실행 결과를 기다림 |
git 명령어 | 한줄 설명 |
git init | git 저장소를 초기화하는 명령어 |
git remote | 원격 저장소를 관리하는 명령어 |
git status |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|
git diff | 파일의 변경사항을 확인하는 명령어 |
git add | 파일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명령어 |
git commit | 파일 변경사항을 확정하는 명령어 |
git push | 파일을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명령어 |
git clone | 레포지토리를 복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|
git pull | 원격저장소의 레포지토리를 로컬저장소로 가져올 때 사용하는 명령어 |
git branch | |
merge | 병합하는 것 |
3-way merge | |
fast-forward | 새로운 브랜치에 커밋 후 적용하는 병합 방법 |
squash | 머지할 브랜치의 커밋을 다 합친 뒤 타겟 브랜치에 커밋하는 방법 |
rebase | |
git restore | 작업 중인 파일을 복구하는 방법 |
git revert | 이전 상태로 돌아가는 방법 |
git reset | 0의 상태로 돌아가는 방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