단어 | 한줄요약 |
호이스팅 | 변수나 함수를 끌어올리는 것 |
실행 컨텍스트 | 엔진이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 공략을 모아둔 것 |
스코프 |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 |
apply/call | this가 가르키고 있는 것을 바꾸고 싶을 때 쓰는 것 |
this | 함수 전역을 가르키는 것 |
new 키워드 바인딩 | 함수를 객체화하여 해당 객체를 this에 바인딩하는 것 |
클래스 | 속성과 메소드를 묶은 것 |
JSON |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식 |
http |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 |
HTTP Message |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편지 보내는 것 |
겟 메소드 | 서버에서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 |
포스트 메소드 |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데이터를 주는 것 |
PUT 메소드 | 전체 업데이트 할 때 쓰는 것 |
패치 메소드 | 일부분 수정할 때 쓰는 것 |
딜리트 메소드 |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삭제할 때 |
HTTP Status Code | 글을 뛰어넘는 글을 전송하는 규약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암호 |
QuertString | URL에서 ? 뒤에 위치하며, 키-값 쌍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부분.
|
Path Variable | URL에서 ? 뒤에 위치하며,키-쌍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부분 |
REST | 리소스를 HTTP를 통해 표준화된 방식으로 처리하는 웹 아키텍쳐 스타일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