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요
스터디 목적 : 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웹 프로젝트를 협업해 개발 하기 위한 JavaScript 기초, 웹 기초, GitHub 기초, API 설계, DB 설계 등 기초적인 내용 공부
스터디 일시 : 2024 .06 .24 (월) ~ 2024 .07.05 (금)
KEEP (유지)
성공적으로 수행한 것, 긍정적인 경험을 기록해요.
이런점은 좋았어요
•
데이터베이스 설계나, API 설계, GIT 활용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사용법이나 기초적으로 거의 알지 못했지만, 팀원들이 많은 도움을 줘서 기초적이더라도 경험을 많이 했다. -이지호-
•
각자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개인 역량대로 한줄 정리든, 팀별 활동이든 잘 해내어 주어서 모든 게 수월했습니다. - 이충현-
•
API 설계 및 DB설계등을 같이 작성해보았는데 좀 더 나은 방향으로 설계하도록 의견을 제시하여 협업하는 것이 좋은 경험이었던 거 같습니다. -이찬-
•
서로 모르는 것이 있을 때 인터넷, GPT를 사용하기보다 서로에게 먼저 물어봐 아는 내용이면 아는사람이 설명해주고 모르는 내용일 때는 다같이 찾아보고 회의를 통해 개념을 정리한 점이 좋았습니다. -방현우-
Problem (문제)
프로젝트 동안 발생한 문제나 어려움을 기록해요.
문제가 있거나 이건 어려웠어요
•
각자의 의견에 대한 주장이 너무 강해서 서로 의견에 충돌이 자주 발생한것 같다. -이충현-
•
협업을 전재로 스터디를 진행해 API 설계, 데이터베이스 설계등을 모의 진행했을 때 설계 방식이 전부 달라 중간점을 찾기 어려웠습니다. -방현우-
•
아무래도 처음 API와 DB설계등을 배우고 설계하다보니, 내용이 어려워 설계의 퀄리티를 좋게 설계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. - 이찬-
•
API와 DB설계를 배우고 설계 과정에서 처음으로 실습 하는 내용이다 보니 어려웠다. -이지호-
Try (시도)
Problem에 대한 해결 방식을 기반으로 추후에 시도해볼 점, 아이디어, 개선사항을 기록해요.
다음 팀 스터디를 진행할 땐 이렇게 해봐요.
•
서로 이야기를 많이 나누는 것을 통해서 서로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조율하는 방식이 필요할듯 하다. -이충현-
•
스터디를 진행하기 전 각자 공부 했던 내용, 그것을 이해한 것이 달랐기 때문에 자신이 맞다는 생각, 자존심을 조금 내려놓을 필요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. -방현우-
•
현재 서로 공부하여 정리한 내용을 토대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. -이찬-
•
너무 많은 것을 알려고 하지 않고, 기초적인 것부터 꾸준한 복습을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. -이지호-